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4

[화공열역학] 물성에 대한 열역학 1. 엔탈피 엔탈피는 에너지를 정량화한 상태성질이다. 내부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는 없지만 기준상태와 관련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흐름 일의 속도는 다음 식을 따른다. 물질이 파이프를 통해 흐를 떄, 일의 흐름이 발생한다. 물질의 흐름은 에너지를 저장한다. 내부에너지와는 달리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는 물질의 높이와 속도에 의존한다. 결론적으로 어떤 공정에서 에너지를 설명할 때, 그 합은 U+PV로 나타내며 U는 내부에너지, PV는 흐름일을 정량화 한 것이다. 더보기 따라서 이 합을 엔탈피로 정의하였으며, H = U + PV 이다. 여기서 H는 엔탈피, U는 내부에너지, P는 압력, V는 부피를 나타낸다. U와 PV 모두 에너지 단위 이므로 엔탈피 또한 에너지 단위이다.(ex. J) 또한,.. 2021. 12. 22.
[화공열역학] 기본개념 - 열역학 제 1법칙 :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지만 하나의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 에너지는 내부에너지(Internal Energy), 운동에너지(Kinetic Energy), 그리고 위치에너지(Potential Energy)의 형태로 저장된다. - 에너지는 열(Heat, Q), 일(Work, W) 형태로 이동될 수 있다. - 일 : 반대힘에 대한 거리를 통해 무언가가 이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 일은 힘의 불균형이 있을 떄 발생하며, 열전달은 온도의 불균형이 있을 때 발생한다. 일은 세가지 형태가 중요한데, 흐름 일(Flow work), 축일(Shaft work), 팽창/수축 일(Expansion/Contraction work) 이다. - 계(System)는 질량 또는 에.. 2021. 12. 21.
[촉매개론] 0. 촉매란? 촉매는 화학반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존재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많은 산업에서 사용하고있다. 그렇다면 촉매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우선 촉매를 알기 전에 화학반응을 알아보자. 1. 화학반응 화학반응은 반응물의 화학결합이 끊어지고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원자의 배열이 다른 생성물로 전환되는 변화이다. 이 때, 반응물의 에너지가 크고 생성물의 에너지가 작다면 반응을 통해 에너지가 방출된다. (발열반응) 반대일 경우에는 에너지를 흡수할 것이다. (흡열반응) 반응은 평형이 이뤄질때까지 진행되고, 이때 평형상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에 의해 결정이 된다. 즉 열역학적으로 반응이 어느정도까지 진행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반응속도는 반응의 진행경로에 따라 달라지므로 각 단계의 활성화 에너지를 .. 2021. 12. 18.
[일반물리학/역학] 물리학과 측정 공대에 입학하고 나서 가장 먼저 만나는 기초 물리학인 일반물리학! 물리학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1.1 물리학이란. 물리학의 주 목표는 자연 현상을 한정된 수로 보고, 그 안에서 기본 법칙을 찾아 예측할 수 있는 이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때 이론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법칙과 실험사이를 이어주는 것이 바로 수학이다. 그래서 물리학과 수학은 뗄래야 뗄 수 없는 사이다. 이론적인 예측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며 모순을 수정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가정이 나타난다. 고전물리학 황금기를 연 아이작 뉴턴이 체계적으로 실험할 수 있는 장비와 도구가 갖춰진 현대 태어났다면 더 많은 학문의 발전이 있었다고 보는 시선이 주를 이룰 만큼, 물리학에 있어 실험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순이 수정되는 예를 들어보자. 아.. 2021.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