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전입신고, 집에서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하는 방법.

by 와이까치 2022. 3.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까칩니다. 

오늘은 집에서 간단하게 전입신고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전입신고 어디서 하나?

우선 전입신고는 "정부24" 에서 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정부24나 전입신고를 치면 웹사이트를 알 수 있습니다.

 

정부 24 전입신고 바로가기

 

또는 위에 URL 남겨두었으니 해당 URL 클릭하셔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정부24 웹사이트에서 전입신고 창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하기를 누르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회원 혹은 비회원 신청하기가 있는데,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비회원으로도 충분히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는 회원가입이 되어있어서 회원 신청하기로 하겠습니다. 

회원신청하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렇게 어떤식으로 로그인은 할지 물어봅니다. 저는 공동인증서가 있으므로 공동인증서로 진행하겠습니다. 

좌측에 카톡, PASS, NAVER 등을 이용하여 간편인증도 가능하니까 손쉽게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로그인 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처럼 전입신고라고 뜨고 유의사항이 적혀있습니다. 최근 선거 투표지역으로 이런저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자세히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에 보면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이 3가지 경우에 해당한다면 온라인으로 전입신고가 불가능하니까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신청인이 미성년자(만 17세 미만)인 경우
  • 기존 세대가 살고 있는 곳에 별도로 세대를 구성(2세대 이상)하는 경우
  • 미성년자가 포함된 전입신고의 경우 전출지 세대주가 인증서를 통해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불가
    ※ 위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관할 읍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에 문의 주신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전입신고 유의사항을 확인하셨다면 '예' 버튼을 누르고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3. 신청단계

 

전입신고 신청을 총 3단계를 거칩니다. 

 

3.1. 1단계 신청인 정보

확인을 눌러 해당 페이지로 오시면 신청인과 신청인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맞는지 확인하시고, 전입하는 사유을 찾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전입사유는 위와 같고 7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주시면 되겠습니다.

 

 

 

3.2. 2단계 이사 전에 살던 곳

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이사 오기 전, 살던 집 주소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시도와 시군구를 선택하고 주소조회를 통해 살던 집주소를 찾아주시면 되겠습니다. 

선택하고 주소조회를 누르면 본인이 살았던 주소, 관할 동사무소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아래에 메뉴가 하나 더 생기게 됩니다. 바로 이사가는 사람을 선택하는 메뉴입니다. 

해당 메뉴에서 가족 전체, 혹은 일부분만 선택하여 다음단계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3.3. 3단계 이사온 곳

이제 마지막 단계입니다. 이사온 곳의 주소를 기입하고, 만약 기존에 살던 곳에 들어가는 것인지 아니면 새로 이사를 가서 세대를 구성하는 것인지 선택해줍니다. 

 

또 자동으로 우편물 주소 이전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니 편하게 우편물 주소를 바꿀 수 있습니다. 

이제 전부 기입해 주시고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마지막으로 본인인증을 진행하면

 

신청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내역 바로가기를 누르면 

민원신청번호와 함께, 처리상태가 나타납니다. 방금 신청한 내용이라 아직 처리중으로 나오겠지만, 

이제 하루에서 이틀정도 지나면 처리완료가 될 것 입니다. 

 

 

전입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사를 가서 전세사기 등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입신고가 필수적이니 꼭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