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핫키 설치도 하고, 편집기 프로그램도 깔았으니까, 기본 명령어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해보도록 한다.
우선 오토핫키 명령어가 어떤 형식으로 되어있는지 공부했다.
0. 오토핫키 명령어
오토핫키 명령어는 아래처럼 사용된다.
명령어, 매개변수1, 매개변수2, 매개변수3, ... |
이렇게 가장 앞에 쓰고싶은 명령어를 적고 쉼표(,)로 명령어와 변수의 구역을 나눠주는 형태이다.
이 때, 굳이 안써도 되는 매개 변수들이 있으며 불필요한 매개변수는 생략이 가능하다.
불필요한 매개변수의 경우
명령어, 매개변수1 [, 매개변수2, 매개변수3, ....] |
처럼 나타내며 대괄호 [ ] 안에 있는 매개변수는 생략이 가능한 매개 변수이다. 이 경우
명령어, 매개변수1 만 입력해도 오류가 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1. Hello, World!
모든 프로그래밍에 기본으로 알려주는 Hello, World!(헬로, 월드!)를 출력해보기로 해본다.
먼저 이전에 올렸던 글을 참조해서(https://like9sin.tistory.com/9) 오토핫키 파일을 만들어주고, 파일명을 Hello로 붙여주었다.
스크립트 편집을 위해서는 오른쪽 클릭 - edit script로 들어가주면
다음 코드가 있지만, 전부 지워준다.
Ctrl + S를 누르면서 저장은 필수
이제 가장 기본적인 메세지를 출력하는 명령어를 써본다.
메세지 출력 명령어는
MsgBox, 출력 |
이다. 따라서 MsgBox, Hello, World! 를 입력하고 저장하고 상단에 화살표 Run script(F5)를 누르면
이렇게 Hello, World!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의 기본인 Hello, World!까지 출력했으니 이제 시작을 한 것이다.
아까 매개변수라는 이야기를 했다. MsgBox라는 명령어는 과연 몇개의 매개변수가 사용될까?
명령어를 입력하고 쉼표(,)를 누르면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가 쭈르륵 나열된다.
MsgBox의 매개변수를 보면
MsgBox [, Options, Title, Text, Timeout] |
으로 되어있다.
매개변수가 전부 대괄호안에 있으니까, 전부 생략해도 오류 없이 실행이 된다.
각각 매개변수는
Option : 메세지 박스 설정
Title : 메세지 박스 제목
Text : 메세지 박스 본문 내용
Timeout : 해당 초(s)가 지나면 메세지 박스가 자동으로 닫힌다.
Option을 제외한 나머지는 어떤 매개변수인지 감이 온다.
Option은 메세지 박스 형식을 바꿔준다.
번호 | 옵션 | 번호 | 옵션 |
0 | 확인 버튼만 표시 | 16 | 금지(X) 아이콘 표시 |
1 | 확인 / 취소 버튼 표시 | 32 | 물음표(?) 아이콘 표시 |
2 | 중단 / 다시 시도 / 무시 버튼 표시 | 48 | 주의(!) 아이콘 표시 |
3 | 예 / 아니오 / 취소 버튼 표시 | 64 | 정보(i) 아이콘 표시 |
4 | 예 / 아니오 버튼 표시 | 262144 | MsgBox가 항상 위에 있도록 하기 |
5 | 다시 시도 / 취소 버튼 표시 | ||
6 | 취소 / 다시 시도 / 계속 버튼 표시 | ||
출처 : https://pnal.kr/5 |
위 표에서 처럼 Option에 번호를 입력해주면 원하는 버튼, 또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별을 물어보는 메세지 박스에 [예 / 아니오] 버튼을 표시하고 싶다면,
다음처럼 작성하고 실행을 할 수 있다.
만약 물음표 아이콘과 버튼을 같이 사용하고 싶을때는, 4 + 32 = 36을 넣어주면 된다.
모든 프로그래밍의 기본인 Hello World를 출력했으니 이제 제대로 한번 공부해봐야겠다.
'컴퓨터 > 오토핫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핫키(Autohotkey) 요일마다 다르게 입력하는 방법 (0) | 2022.01.27 |
---|---|
오토핫키(Autohotkey) 변수설정 (0) | 2022.01.09 |
오토핫키(Autohotkey) 자동 입력 매크로 만들기. (0) | 2022.01.04 |
오토핫키(Autohotkey)로 자동 실행 매크로 만들기 (0) | 2022.01.04 |
오토핫키(Autohotkey) 설치와 실행 방법 (0) | 2022.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