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오토핫키

오토핫키(Autohotkey) 변수설정

by 와이까치 2022. 1. 9.
반응형

안녕하세요. 변수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수는 '바뀔 수 있는 수'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오토핫키를 포함한 타 언어에서도 바뀔 수 있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무언가를 작성할때, 

 

내 이름은 "까치" 이고, "오토핫키"라는 게시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라는 글이 있을 때, 

이름이라는 변수에 까치를 넣을 수 있을 것이고, 게시글이라는 변수에 오토핫키를 넣을 수 있습니다.

문장에서 한번만 쓰인다면 그냥 바로 대입할 수 있겠지만, 여러 번 쓰이거나 다른 값을 계속해서 넣어줘야한다면, 

변수를 지정하여 해주는 것이 편할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오토핫키에서 변수를 지정하고 불러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변수

오토핫키에선 변수를 지정할 때 아래처럼 작성합니다. 

 

var := result

 

이 때, var은 변수 이름이고, result는 변수에 들어가는 값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변수를 불러올 때는 아래처럼 작성합니다. 

 

MsgBox,  %var%

 

변수 앞뒤로 %기호를 붙여서 변수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간단하게 예제를 작성하면. 

라고 코드를 작성하면

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변수와 변수는 계산이 가능합니다. 

다음처럼 했을 때, 

5라는 계산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연산자. 

앞서 변수를 계산해주는 + 연산자를 사용하였다.

연산자도 여러 연산자가 있으니 찾아보면서 나도 공부를 진행했다. 

 

앞서 := 라는 연산자를 이용하여 변수에 값을 지정해주었다. 

:= 는 대입연산자로, 변수에 값을 대입해준다.

그럼 = 기호는 사용할 수 없을까? 물론 사용이 가능하다. 변수 = 값 을 넣으면 변수에 값이 지정되지만,

= 연산자는 대입연산자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비교연산자를 담당하고있다. 

즉 A = B는 A와 B가 같은지 비교를 하는 연산자인 것이다. 

 

대입연산자에는 하나가 더 있는데, .= 기호이다. 

예를 들어

 

Var := 10
Var := 20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Var값은 20이다. 

 

 만일 .= 연산자를 이용하여 아래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Var := 10
Var .= 20

 

Var은 20이 아니라, Var = 1020 이라는 값이 나온다. 

즉 .=은 기존 변수를 없애고 대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변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추가로 적는 대입연산자인 것이다. 

 

이외 기본적인 연산자는 아래 표로 추가해두겠습니다.

연산자 설명
:=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대입
.=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 값에 이어붙임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더하고 대입
++ 1 더하고 대입
-= 빼고 대입
-- 1 빼고 대입
*= 곱하고 대입
/= 나누고 대입
> 왼쪽이 크다
< 오른쪽이 크다
>= 왼쪽이 크거나 같다
<= 오른쪽이 크거나 같다
= 같다
<> 다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