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변수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수는 '바뀔 수 있는 수'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오토핫키를 포함한 타 언어에서도 바뀔 수 있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무언가를 작성할때,
내 이름은 "까치" 이고, "오토핫키"라는 게시글을 작성하였습니다. |
라는 글이 있을 때,
이름이라는 변수에 까치를 넣을 수 있을 것이고, 게시글이라는 변수에 오토핫키를 넣을 수 있습니다.
문장에서 한번만 쓰인다면 그냥 바로 대입할 수 있겠지만, 여러 번 쓰이거나 다른 값을 계속해서 넣어줘야한다면,
변수를 지정하여 해주는 것이 편할 것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오토핫키에서 변수를 지정하고 불러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변수
오토핫키에선 변수를 지정할 때 아래처럼 작성합니다.
var := result |
이 때, var은 변수 이름이고, result는 변수에 들어가는 값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변수를 불러올 때는 아래처럼 작성합니다.
MsgBox, %var% |
변수 앞뒤로 %기호를 붙여서 변수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간단하게 예제를 작성하면.
라고 코드를 작성하면
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변수와 변수는 계산이 가능합니다.
다음처럼 했을 때,
5라는 계산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연산자.
앞서 변수를 계산해주는 + 연산자를 사용하였다.
연산자도 여러 연산자가 있으니 찾아보면서 나도 공부를 진행했다.
앞서 := 라는 연산자를 이용하여 변수에 값을 지정해주었다.
:= 는 대입연산자로, 변수에 값을 대입해준다.
그럼 = 기호는 사용할 수 없을까? 물론 사용이 가능하다. 변수 = 값 을 넣으면 변수에 값이 지정되지만,
= 연산자는 대입연산자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비교연산자를 담당하고있다.
즉 A = B는 A와 B가 같은지 비교를 하는 연산자인 것이다.
대입연산자에는 하나가 더 있는데, .= 기호이다.
예를 들어
Var := 10 Var := 20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Var값은 20이다.
만일 .= 연산자를 이용하여 아래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Var := 10 Var .= 20 |
Var은 20이 아니라, Var = 1020 이라는 값이 나온다.
즉 .=은 기존 변수를 없애고 대입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변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추가로 적는 대입연산자인 것이다.
이외 기본적인 연산자는 아래 표로 추가해두겠습니다.
연산자 | 설명 |
:= |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대입 |
.= |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 값에 이어붙임 |
+ | 더하기 |
- | 빼기 |
* | 곱하기 |
/ | 나누기 |
+= | 더하고 대입 |
++ | 1 더하고 대입 |
-= | 빼고 대입 |
-- | 1 빼고 대입 |
*= | 곱하고 대입 |
/= | 나누고 대입 |
> | 왼쪽이 크다 |
< | 오른쪽이 크다 |
>= | 왼쪽이 크거나 같다 |
<= | 오른쪽이 크거나 같다 |
= | 같다 |
<> | 다르다. |
'컴퓨터 > 오토핫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핫키(Autohotkey)로 원하는 위치 자동 마우스 이동 매크로 (0) | 2022.02.11 |
---|---|
오토핫키(Autohotkey) 요일마다 다르게 입력하는 방법 (0) | 2022.01.27 |
오토핫키(Autohotkey) 자동 입력 매크로 만들기. (0) | 2022.01.04 |
오토핫키(Autohotkey)로 자동 실행 매크로 만들기 (0) | 2022.01.04 |
오토핫키(autohotkey) 기본 프로그래밍 해보기 (0) | 2022.01.03 |
댓글